갑근세 자동계산기 이용 계산방법 확인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지켜야할 의무가 있는데 이는 4대 의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을 살펴보면 납세 및 국방, 교육, 근로의 의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세금 같은 경우 국가나 지방단체에서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고자 국민에게 거두는 돈이라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갑급세 자동계산기를 사용하여 갑근세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오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는 갑종근로소득세라고 볼 수 있는데 직장에 다니는 분들은 원천징수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급여를 받을 때 이미 차감이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갑근세 계산방법은 월 급여액에 세율을 곱하여 진행하면 되는데 이는 금액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공제대상 가족수나 20세 이하 자녀수에 따라서도 다르게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용 계산기를 이용하여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이를 확인해 보기위해 국세청 홈택스를 조회 후 확인되는 홈페이지에 방문해 보겠습니다. 사이트 메인 화면에 보면 아래와 같이 조회 발급이라는 메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선택하여 이동해 보도록 하죠.
다음으로 화면 오른쪽에 있는 기타 조회에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2018년 부터 과세표준 5억원이 초과하는 사람들은 소득세율이 40%에서 42%로 변경되어 적용되게 되었습니다.
갑근세 자동계산기는 간단히 본인이 지급받는 월급과 본인을 포함한 전체 공제대상 가족수, 공제대상 가족 중에 20세 이하 자녀수를 입력하여 조회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3백만원이라는 급여를 받는다는 기준으로 계산해 보니 아래와 같이 3가지 종류로 나누어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본인의 연간 세부담에 맞춰서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라 보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갑근세 계산방법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조견표)에서 상세히 안내해 드리고 있으니 다운로드하여 확인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