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종부세 계산기 이용해보기

★^&^★ 2019. 4. 11. 12:15

예전부터 부동산을 이용하여 투기하는 세력들이 많이 있었는데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는 종합부동산세의 부과라고 볼 수 있으며, 부동산의 소유 정도에 따라 세율을 달리하여 부과되고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종부세 계산기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려고 하는데 2018년 9·13 주택시장 안정방안으로 인해 세율이 전반적으로 오른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1가구 1주택자는 기초공제 3억원이 인정되며, 과세기준은 9억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정부에서 공시지가를 현실화한다고 하여 많은 분들이 종부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요. 적용되는 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전용 계산기를 이용하여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다주택자 종부세 계산방법도 이를 통해 간단히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럼 종부세 계산기를 사용해 보기 위해 인터넷 검색창을 이용하여 '부동산114'를 조회한 후 확인되는 사이트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화면 오른쪽에 보면 알아부면 편리한 서비스라는 것이 있는데 부동산계산기 항목을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부동산 보유 및 상속 증여시에 있는 재산세/종부세를 이용하여 다음으로 넘어가 주세요.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현재 소유하고 있는 주택의 공시가격을 알아야하는데요. 만약 모른다면 오른편에 있는 국토교통부 기준시가 확인을 통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격을 입력한 뒤 계산버튼을 눌러주세요.



예를들어 6억 5천만원과 7억원의 가격의 주택을 소유했다고 가정하고 계산해 보니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항목으로는 재산세 및 지방교육세, 도시계획세, 종합부동산세액, 농어촌특별세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종부세 계산기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는데 1세대 1주택자 같은 경우 장기보유자 및 고령자에게는 상황별로 세액 공제 혜택이 주어진다는 점을 참고하여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