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거의 1년 동안 기준금리가 동결되고 있는 가운데 조만간 인상할 수 밖에 없지 않냐는 예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안 좋은 상황이 걸리는 것이 있지만, 미국이 지속적으로 인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더이상 버티기는 힘든 것처럼 보입니다. 



오늘 확인해 볼 정보를 은행 이자 계산법 및 복리계산법에 대한 내용인데요. 보통 정기예금이나 적금을 들 때 이율이 높은 것은 확인을 하지만 나중에 받는 금액은 확인을 안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은데요. 이것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꼼꼼히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은행 이자는 구분에 따라 일반과세 또는 세금우대, 비과세로 나누어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만기시 지급받는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세금에 대해서도 세금이 발생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일반과세일 경우 이자금액의 15.4%가 원천징수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이유로 정확한 금액을 확인하시려면 계산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데 국민은행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것을 이용하여 확인해 보도록 하죠. 사이트에 접속하여 우측 상단에 보면 검색기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조회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조회되는 목록 가장 위에 있는 것을 선택해 주시면 되는데 다양한 메뉴 중에서 예금계산기를 선택하여 이동해 보겠습니다. 




계산정보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복리계산법도 선택하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리 같은 경우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발생하지만, 복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를 포함한 뒤 다시 그에 대한 이자를 내는 것이라 기간이 길수록 유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1천만원이라는 금액을 36개월 동안 2.3%의 금리로 정기예금을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단리 및 복리로 각각 계산해 보니 아래와 같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조건에 따라 세후 이자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월복리로 진행할 때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복리 포함 은행 이자 계산법에 대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이율은 금융 기관마다 다르게 적용되므로 안전하고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시어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