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류는 언제부터인지 먹을 것에 대한 걱정이 사라지게 되었는데요. 물론 경우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전과 비교해 봤을 때 이제는 먹을 것도 골라서 먹는 시대가 왔습니다. 음식의 풍족함이 왔지만, 사람들은 이제 과체중에 대한 걱정을 하게 되었는데요.
이 시간에는 체질량지수 계산기를 이용한 계산법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것에 사전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값이라 볼 수 있는데요. 비만도 측정을 하기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성별이나 인종 등에 따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체질량지수 계산기를 이용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는 인터넷 검색창을 이용하여 사이즈 코리아를 조회 후 사이트에 방문해 보겠습니다. 홈페이지 상단 메뉴에 보면 사이즈 코리아 아래에 있는 나의체형알아보기를 선택하여 이동해 주세요.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연결됨을 알 수 있는데 성별 및 연령, 키, 몸무게를 입력한 뒤 알아보기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체질량지수 계산법은 체중(kg)/키(㎡)로 보시면 되며, BMI지수가 18.5 미만이면 저체중이고 18.5 ~ 22.9는 정상이고 23 ~ 24.9는 과체중, 25 ~ 30 미만은 종도비만입니다. 그리고 30 이상이면 고도비만이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이것으로 체질량 지수 계산법 및 계산기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는 일반적으로 참고하는 자료로 이용되지만,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하려면 허리둘레나 근육량 등의 수치도 함께 봐야한다는 점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